사랑하는 그대들에게.



현실적 상황이 변하면 그에 맞추어 사고방식도 변해야 한다. 그래야 현실을 살아갈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신앙까지 변해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바꾸어야 할 대상은 신앙이 아니라 신앙의 적용이다.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이런 이해가 없었다. 그래서 예언자들은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 현실적 상황에 따른 신앙의 변화를 지탄했다. 그런데 지금의 현실은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 사역자들이 오히려 성도들의 신앙을 왜곡시키고 있다. 교회성장을 최고의 목적으로 삼고 권력과 물질적 안정을 구한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기자의 하나님  (0) 2011.04.14
성서학자들이 선지자적 사명을 가져야 하는 이유  (0) 2011.04.06
예언자적 사고의 종말  (0) 2011.04.05
주석번역에 대한 단상  (0) 2010.12.22
성경의 의도적인 모호함  (0) 2009.11.09
,

예언자는 소명을 통해 야훼와 이스라엘을 향한 그의 계획에 대한 고유한 지식을 갖게 된다.  예언자는 하나님의 계시를 놓고 자신의 신앙과 지성의 전력을 다해 씨름하게 되고, 독특한 신앙관을 구축하게 된다. 즉 하나님의 소명은 예언자가 독특한 신앙관을 가지도록 만든다. 그래서 그들의 선포는 시대정신과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예언자들은 시대의 이단아로 낙인 찍히게 되고 처절한 고독을 경험해야 했다.

신학교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곳이다. 목회자는 건강한 교회를 세우는 사람이다. 따라서 신학교육은 건강한 교회를 세우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건강한 교회'가 아닌 '성장하는 교회'에 열중한다. 궁극적으로 건강한 교회는 성장하게 된다. 그렇다고 성장하는 교회가 건강한 교회는 아니다.

건강한 교회가 되려면 목회자가 공개적으로 쓴소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설교나 상담 등을 통해 신자들이 신앙으로 바로 설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책임을 갖고 있다. 이러한 책임을 수행하려면 예언자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목회자는 예언자가 아니다. 하지만 목회자는 하나님의 소명을 받은 자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소명에는 예언자적 사명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예언자적 사고는 목회자의 자질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목회자에게서 예언자적 사고는 찾아 볼 수 없다. 자신에게 예언자적 소명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이러한 의식의 부재는 예언자적 사고의 종말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현실에서 예언자적 설교를 들을 수 없는 이유다.

,
다음은 대한성서공회 CD-ROM 성경 2.0 매일성경읽기표에 해당 연도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생기는 오류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받은 후 압축을 풀고 C:\Program Files\대한성서공회 CD-ROM 성경 2.0\UserData 로 이동 시키면 됩니다.


대한성서공회 CD-ROM 성경 2.0 매일성경읽기표 데이터
http://www.bskorea.or.kr/catalog/cdrom/downloaddaybible.aspx

'연구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갓피플성경읽기표  (0) 2011.07.29
Cadre Bible  (0) 2011.05.14
The Babylonian Talmud  (0) 2010.05.11
외경 영역본  (0) 2008.12.11
Bar Ilan Responsa  (0) 2008.10.20
,

N.T. Wright Page

추천자료 2011. 3. 22. 17:05
N.T. Wright 교수 홈페이지. 아쉽게도 톰 라이트가 운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관련 정보들을 잘 정리해두었다. 신학계에서 특정 인물에게 홈페이지를 헌정하기란 거의 기적이 아닐까?


N.T. Wright Page
http://www.ntwrightpage.com/
,
영국에 위치한 St. John's College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홈페이지입니다.


St. John's College Creative Christian Learning
http://www.stjt.org.uk/
,
이 단어는 '이어성(異語性)', '이종종합성', '다중적 언어성', '언어적 다양성'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다. 문학과 언어학 분야에서는 주로 이어성(異語性)으로 번역했는데, 성서학에서도 이러한 관행을 따르는게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heteroglossia
http://en.wikipedia.org/wiki/Heteroglossia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법  (0) 2011.10.05
정동사  (0) 2011.10.05
Prophetic Futurology  (0) 2011.03.15
Monolatrism  (0) 2011.03.15
merism  (0) 2011.03.10
,

Ron Giese 교수(Liberty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의 시편 강의입니다.


목차
The Psalms: Book 1 / Psalms 1-41 / "Compliment / Complaint"
The Psalms: Books 2 / Psalms 42-72 / "Davidic Kingship"
The Psalms: Books 3 / Psalms 73-89 / "The Fall of Jerusalem"
The Psalms: Books 4 and 5 / Psalms 90-150 / "The Return of the King"


The Psalms - Ron Giese
http://www.desertspringschurch.org/messages/By_Series/The_Psalms/

,

NIGTC(The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로 알려진 주석에서 요한계시록을 저술한 G. K. Beale의 강의입니다.

1. What You Revere, You Resemble
2. The Key to Understanding Symbolism
3. Why Is the New Heaven and the New Earth Equated with the Temple? (Part 1)
4. Why Is the New Heaven and the New Earth Equated with the Temple? (Part 2)
5. The Two Witnesses in Revelation


From Symbolism to Significance: The Book of Revelation
http://www.desertspringschurch.org/messages/By_Series/Clarus_07/

,
예언자는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는다. 예언자는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계획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앞으로 발생하게 될 일들에 대한 독자적인 인식이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하나님의 계획에서 도출된 예언자의 인식에 맞추어 말과 행동으로 표출하게 된다.

따라서 'Prophetic Futurology'는 '예언자의 미래인식'으로 번역하면 적절하겠다.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동사  (0) 2011.10.05
heteroglossia  (0) 2011.03.22
Monolatrism  (0) 2011.03.15
merism  (0) 2011.03.10
평행법의 범주들  (0) 2008.09.22
,
이 용어는 '일신숭배주의'로 번역하면 적절하겠다.


Monolatrism
http://en.wikipedia.org/wiki/Monolatrism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teroglossia  (0) 2011.03.22
Prophetic Futurology  (0) 2011.03.15
merism  (0) 2011.03.10
평행법의 범주들  (0) 2008.09.22
Strophic Structure  (0) 2008.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