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현재 "목자-양 비유의 역사" 원전 분석 단계에 있다. 큰 덩어리로는 쿰란 문서와 그리스-로마 문헌 부분만 남았다.

오늘 연구 범위에 포함할 그리스-로마 문헌을 추리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는데, 단순히 기원후 1세기까지 연대순으로 골라도 9명의 저자가 꼽힌다. 저자별로 복수의 저작을 다루기도 하므로 만만치 않은 분량이 예상된다.

일단 내일까지 자료를 검토하고 나서, 주요 인물 위주로 추리는 작업을 해야 할 듯하다.

,

고대 그리스 정치철학자로 그의 작품 『Oedipus Tyrannus』에서 목자를 통해 지도자의 덕목을 다룬다.

소포클레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8649&cid=51609&categoryId=51609

,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소크라테스와 정의에 관해 토론하는 인물이다. 둘 사이에 정의를 논하면서, 목자에 빗대어 지도자상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내가 분석하고 있는 본문이다. 둘 사이에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는데, 소크라테스는 전형적인 목자상을 지지하고, 트라시마코스는 권력의 속성에 비추어 목자의 실리적인 측면을 직시한다. 목자-왕 전승이 고대 근동과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왕권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트라시마코스의 입장이 더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목자로 비유된 지도자들은 자신의 안위와 권력에 관심을 두었고, 백성의 현실에는 무관심했다. 하지만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약속은 모두 전형적인 목자상에 근거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러한 대비로 인해 트라시마코스의 목자론은 내 연구에 흥미를 더해줄 자료가 된다.

트라시마코스 (Thrasymachu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2028&cid=40942&categoryId=31501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에 실린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에 대한 정보이다. 그리스-로마 문헌에 나타난 목자-양 비유에 관한 자료를 찾고 있는데, 서양 철학까지 연결되고 있다.

Michel Foucault
https://plato.stanford.edu/entries/foucaul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