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그리스-로마 문헌에서 '목자'라는 단어를 사용한 작품 중 기원후 100년 이전에 출판된 작품을 중심으로 선별한 결과 총 14명이 일차 기준에 부합한다. 문학적 기법이 아니거나 발생 빈도가 적은 경우 임의로 제외하였다. 이제 더 엄격한 기준으로 연구 범위에 포함할 자료들을 걸러야 한다.

기준 1. 저자와 시대
저자의 생애와 작품 발표 시기가 요한복음 최종 편집 시기 이전이어야 한다. 후대 인물이라도 작품이 역사 기록일 경우 부합한 자료로 선정.

기준 2. 비유
연구 목적에 부합하게 목자-양 비유를 사용한 본문이어야 한다.

기준 3. 발생빈도
되도록 비유를 많이 사용한 작품이어야 한다.

기준 4. 중요도
저자와 작품이 그리스-로마 역사에 미친 영향력을 감안한다. 한편 내 연구에 미칠 영향력을 감안한다.

이미 호메로스와 플라톤으로 위 기준들을 충족해서, 이 두 인물의 저작만으로 연구해도 상당한 기여가 되겠지만, 연구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시대별 주요 저자를 선정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

요한복음의 최종 완성 시기를 고려하면, 연구 범위에 가까스로 포함될 수 있는 인물.


플루타르코스 [Plutarcho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39095&cid=51609&categoryId=51609

,

지도자의 중요성

성찰 2023. 10. 8. 05:15

플루타르코스 (Plutarchos)의 주요 작품 중 하나인 『 Moralia』에 지도자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부분이 있다.

When the older men asked the defeated soldiers why they were such cowards as to flee from the men they had so often pursued, one of the Numantians is said to have replied that the sheep were still the same sheep, but another man was their shepherd.

노인들이 패한 병사들에게 왜 그렇게 겁쟁이가 되어 자주 쫓아오던 사람들을 피해 도망쳤는지 물었을 때, 누만인 중 한 명이 양은 여전히 같은 양이지만 다른 사람이 그들의 목자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Plutarch, Moralia: Sayings of Romans, 201.


내 인생에서 현시기가 한국 정치 경제 사회 등 최악의 총체적인 난국이라고 보는데, 얼마나 더 밑바닥으로 갈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유익한 경험이 될지도 모르겠다 싶다.

,

그리스-로마 문헌 중 목자-양 비유를 가장 잘 활용한 작품 중 하나는 소설 『황금 당나귀』 (The Golden Ass)로 알려진 아풀레이우스의 『변형담』 (Metamorphoses)으로 보인다.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Lucius Apuleiu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1994&cid=40942&categoryId=34428

변형담 [Metamorphoses , 變形譚]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345&ref=y&cid=40942&categoryId=33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