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복음은 하나다

말씀묵상 2013. 4. 15. 17:04

Paul does not speak of two different gospels in content but of two different cultures in which the one gospel was proclaimed. - Thomas R. Schreiner, Galatians, 128.


[번역] 바울은 내용에서 서로 다른 두 복음들에 대해서 말하는게 아니라 서로 다른 문화권들에서 선포되어지는 복음에 대해서 말한다. - 토마스 R. 슈라이너

갈라디아서 2장 7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선포하는 무할례자들을 향한 복음과 게바가 선포하는 할례자들을 향한 복음이 같다고 말한다. 무할례자들을 위한 복음과 할례자들을 위한 복음이 따로 존재하는게 아니라는 소리다. 복음이 선포되는 대상과 지역은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복음은 하나다. 나는 지금 그 복음이 무엇인지 본문과 씨름하는 중이다. 주여! 나로 하여금 복음의 진수를 깨닫게 하소서.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의 진리를 세우기 위해 저항하라  (0) 2013.04.25
복음전도자로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0) 2013.04.15
20120307  (0) 2012.03.08
20111026  (0) 2011.10.26
20110921  (0) 2011.09.21
,

갈라디아서 전문 블로그입니다.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리전트 컬리지의 Sven K. Soderlund의 지도로 갈라디아서를 연구하고 있는 토마스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Paul’s Epistle to the Galatians

http://epistletothegalatians.wordpress.com

,

덴버신학교 성서학 분과에서 제공하는 참고문헌 2013년판입니다.


[구약학] 담당교수: M. Daniel Carroll R., Hélène Dallaire, Richard S. Hess

http://www.denverseminary.edu/article/annotated-old-testament-bibliography-2013/


[신약학] 담당교수: William W. Klein, Craig L. Blomberg, David Mathewson

http://www.denverseminary.edu/article/new-testament-exegesis-bibliography-2013/

,

"agon motif"는 달리기나 레슬링 등 그리스문화권에서 성행했던 운동경기 이미지를 통해 치열한 노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신약성경에서는 사도 바울이 주로 사용하는 모티프이다.


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V. C. Pfitzner의 <Paul and the agon motif: Traditional athletic imagery in the Pauline literature>를 읽어보라.


문학비평이론에서 "agon"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라.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72&docId=1530453&mobile&categoryId=272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기 모형론(Festival Typology)  (0) 2014.04.01
hapax-legomenon  (0) 2013.05.08
enallage  (0) 2012.03.23
Socinian  (0) 2011.12.13
inaugurated eschatology  (0) 2011.11.09
,

하버드대학교 Shaye J. D. Cohen 교수의 <유대교와 기독교의 구약성서>란 강좌입니다. 구약성서를 바라보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차이점을 배울 수 있습니다.


The Hebrew Scriptures in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s://itunes.apple.com/kr/course/hebrew-scriptures-in-judaism/id512201207

'성서신학 > 구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직 비블리칼 히브리어 문법 요약본  (0) 2014.01.25
구약학 서지목록  (0) 2014.01.11
[QT해설] 아가서 - 등장인물  (0) 2012.04.01
[QT해설] 아가서  (0) 2012.03.30
Annotated Old Testament Bibliography - 2011  (0) 2011.05.04
,

Torch Trinity Journal

성서신학 2013. 3. 13. 00:19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출간하는 저널에 실린 글을 PDF로 제공하고 있다.

 

Torch Trinity Journal
http://www.ttgst.ac.kr/ttgst/eng/board/resources_list.asp?key=13

,

갈라디아서의 대적자들에 대한 최흥식 교수(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신약학)의 논문


<THE GALATIAN AGITATORS’ THEOLOGICAL RATIONALE FOR CIRCUMCISION>

http://www.ttgst.ac.kr/upload/ttgst_resources13/20123-157.pdf

,

역사비평의 유익

성찰 2013. 3. 11. 23:30

역사비평은 저작연대에 따른 역사적 상황을 재구성하는 방법론이다. 성경을 기록한 저자와 동일한 시대를 살았던 독자들은 어휘나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저자의 의도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하지만, 현 시대를 살아가는 독자는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시대적 재구성을 필요로 한다. 그 때 유용한 방법론이 바로 역사비평이다. 따라서 역사비평은 성경본문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선지식을 갖도록 도와준다. 

그런데 모 교수는 마치 역사비평이 저작 연대에 통용했던 의미를 파악하는 역할은 하지만, 현 시대의 독자들에게는 문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듯 말한다. 서사비평의 유익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알겠으나, 그렇다고 역사비평이 의미의 고정화를 의미하는듯 가르치면 안되는데 왜 이러시나.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일독으로의 초대  (0) 2014.01.01
2014년엔 성경일독을 하자  (0) 2013.12.31
소외된 신학자  (0) 2012.03.29
신학생과 경건훈련  (0) 2012.03.08
목회현장에서 총체적인 사고를 하라  (0) 2011.11.24
,

예일대학교는 미국 아이비리그에 소속된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입니다. 공개강좌(OCW)에 가장 앞장서는 곳이기도 하지요. 신학부(Divinity School)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데, 예일성경공부 시리즈 중 <마가복음> 강좌가 공개되어 있네요.


YDS Bible Study: The Gospel of Mark 
http://godsacre.org/education/adult-education/bible-study/mark/

,

한국에서는 에클레시아북스에서 <톰 라이트, 칭의를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된 톰 라이트의 <Justification: God’s Plan and Paul’s Vision>을 중심으로 진행된 토론이다. 톰 라이트가 직접 토론에 참석하지는 않았고, 가이 P. 워터스(Guy P. Waters)와 몇몇 패널들이 진행한 토론이다.


N.T. Wright’s Doctrine of Justification, Part 1
http://reformedforum.org/podcasts/ctc58/


N.T. Wright’s Doctrine of Justification, Part 2
http://reformedforum.org/podcasts/ctc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