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안식일 논쟁이 촉발된 베데스다 연못 치유 사건(5장)에서 예수의 변론,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 하시매" (17절)라는 말씀에서 "쉬지 않으시는 하나님"을 치유 사역의 정당성을 위한 근거로 이해하는 해석이 있다.

나는 하나님의 구속사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예수의 신적 정체성과 구속 사역을 선포하려는 의도로 읽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예수는 하나님과 자신의 관계를 '아버지와 아들'(the Father-Son relationship) 혹은 '하나됨'(oneness)으로 묘사한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하나님의 구속사를 자발적인 순종으로 실현하신다. 아버지의 계획과 아들의 실행은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만큼이나 하나를 이룬다. 따라서 예수는 아들로서 구속자와 심판자로서 권한을 갖는다.

유대인은 모세의 율법을 근거로 예수를 정죄하지만, 도리어 예수께서는 모세를 통해 유대인들의 불신을 지적하신다 (45-47절). 예수의 베데스다 연못 치유 사건에서 촉발된 안식일 논쟁은 이후 초막절 기간에 유대인을 마주하며 재점화된다. 안식일 예외 규정 중 하나가 할례이다 (7:22-23). 예수는 모세를 초월하는 존재이며, 안식일의 의도에 따라 예수의 치유 사역은 정당성을 갖는다 (23절).

결국 안식일 논쟁은 하나님의 아들로서 예수의 신적 정체성과 그의 구속 사역을 선포하는 기능을 한다.

,

에스겔 34는 한 목자의 등장은 다윗 언약의 유효성 선포이며, 이어 화평의 언약 체결을 선포한다 (v. 25). 이와 유사하게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에서는 한 목자의 등장은 다윗 언약의 성취이자 계명과 관련이 있다. 화평의 언약이 악한 짐승 제거와 양의 평안을 약속한다면, 계명은 양 떼를 위한 영생에 대한 약속이다 (vv. 25–28).

언약과 계명 사이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에는 확연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그 차이가 언약 대신 계명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이유일 것이다. 다윗은 하나님의 목자이지만, 그는 하나님의 종이자 왕자이다. 하나님과 다윗은 주종의 관계이다. 반면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그와 하나이다. 또한 다윗은 생전에 왕국의 통치라는 의무를 감당하지만, 예수는 죽음과 부활을 통해 영생이라는 영적 사역을 감당하신다.

,

매년 영국 대학교 순위를 매기는 또 다른 언론사 The Times and Sunday Times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곳에서도 올해는 2위를 기록했다. 샌엔은 매번 Research quality와 Graduate prospects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한다. 학교 특성이라 쉽게 개선할 수 없는 부분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선방하고 있다.

The Good University Guide 2025
https://www.thetimes.com/uk-university-rankings/league-table

,

Definitions of Antisemitism

끄적 2024. 9. 20. 01:47

내 연구가 요한복음이 반유대주의적이라는 인식과 연관되는 지점이 있어서 신청한 웨비나이다. 요한복음이 유대인 집단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내 관점에 요한복음은 지극히 유대적이다. 


Definitions of Antisemitism, with Ken Stern, David Feldman and Lori Lefkovitz 
https://www.gc.cuny.edu/events/definitions-antisemitism-webinar-part-1

,

예수께서 유대인들로부터 박해가 시작된 계기는 베데스다 치유 사건이고, 그 이유는 안식일 위반이다 (5:16). 안식일은 십계명 중 네 번째 계명(출 20:8~11)이며, 위반은 투석형에 처했다 (민 15:32~36).

예수께서는 안식일 위반이라는 유대인들의 해석에도 불구하고, 자기의 정당성을 주장하시는데 그의 주장은 유대인들에게는 신성모독으로 받아들여졌고 박해를 넘어 살해 위협으로 바뀌게 된다(17~18절).

요한복음에서 예수는 유대 절기를 성실히 준수하시지만, 유독 안식일은 유대인의 관습에 위반하는 일을 하신다. 예수께서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17절)하신 말씀도 정황상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하나님이 안식일 준수를 명령하신 이유는 그가 안식을 취하셨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안식을 취하셨던 안식일에 하나님이 일하신다는 예수의 답변은 어폐가 있다.

안식일은 본래 휴식을 위해 제정되었고, 후대에 예배로 변화 혹은 확장되었다고 판단된다. 가령 이사야와 에스겔은 안식일에 하나님을 예배하라고 말한다.

이사야 66:23 여호와가 말하노라 매월 초하루와 매 안식일에 모든 혈육이 내 앞에 나아와 예배하리라
에스겔 46:3 이 땅 백성도 안식일과 초하루에 이 문 입구에서 나 여호와 앞에 예배할 것이며 

모세 시대에는 사람의 안식에 중점이 있었으나, 성소에 관심은 유지되어야 했다.

레위기 19:30 내 안식일을 지키고 내 성소를 귀히 여기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24:8 안식일마다 이 떡을 여호와 앞에 항상 진설할지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을 위한 것이요 영원한 언약이니라

안식일에 모든 일이 금지되지는 않았다. 예수께서 그 예로 할례를 언급하셨다.

7:22 모세가 너희에게 할례를 행했으니 (그러나 할례는 모세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조상들에게서 난 것이라) 그러므로 너희가 안식일에도 사람에게 할례를 행하느니라
2:23 모세의 율법을 범하지 아니하려고 사람이 안식일에도 할례를 받는 일이 있거든 내가 안식일에 사람의 전신을 건전하게 한 것으로 너희가 내게 노여워하느냐 

안식일 베데스다 치유 사건에서 유대인을 향한 예수의 답변을 유심히 살펴보면, 예수께서는 안식일을 통해 생명과 심판을 말씀하신다. 예수의 변론이 안식일 전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만약 안식일과 구원/심판을 연결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면, 이스라엘 출애굽 사건이 그것이 될 수 있다 (신 5:12~15).

15 너는 기억하라 네가 애굽 땅에서 종이 되었더니 네 하나님 여호와가 강한 손과 편 팔로 거기서 너를 인도하여 내었나니 그러므로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명령하여 안식일을 지키라 하느니라

,

많은 학자가 선한 목자 담론(10:1-21)의 배경이 초막절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은 담론의 배경을 언급하지 않거나 7장(2절: 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37절: 명절 끝날 곧 큰 날에)에 한정한다.

요한 고유의 절기 사용 방식을 고려하면, 7-10장은 초막절 내러티브로 볼 수 있으며, 10장 내러티브의 흐름을 봐도 초막절을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10:22-59는 수전절 내러티브이다(22절: 예루살렘에 수전절이 이르니 때는 겨울이라). 앞서 예수께서는 선한 목자로서 자기의 자발적인 죽음을 예고하셨다. 선한 목자 담론에서 촉발된 예수의 정체에 관한 유대인 내부 논쟁(19~21절)은 그리스도론(24절)으로 이어진다. 예수께서는 다시 목자-양 유비를 사용하시고 아버지와 아들의 하나됨을 주장하신다(25~30절). 

선한 목자 담론과 수전절 내러티브는 동일하게 목자-양 유비를 통한 예수의 자발적인 죽음 선포와 그의 권위를 다룬다. 초막절이 성전 봉헌, 수전절이 성전 회복이라는 핵심 사상으로 연속성을 갖고 있듯이, 선한 목자 담론은 선포, 수전절 내러티브는 해설로 볼 수 있다.

,

올해 영국 대학 평가 순위 2등을 기록했다. 강의 만족도에서 1위 옥스퍼드와 벌어진 격차가 순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

The Guardian University Guide 2025 – rankings
https://www.theguardian.com/education/ng-interactive/2024/sep/07/the-guardian-university-guide-2025-the-rankings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Times and Sunday Times The Good University Guide 2025  (0) 2024.09.24
Definitions of Antisemitism  (0) 2024.09.20
요한복음에 나타난 아들됨 분석  (0) 2024.09.11
굽이굽이 돌아도  (0) 2024.09.10
학위 논문 제출 과정 교육  (0) 2024.09.04
,

선한 목자 담론에서 내 주요 관심은 유대인의 분쟁(10:19–21)이다. 나는 유대인의 목자-왕 전승에 반하는 선한 목자의 죽음이라는 예수의 가르침이 분쟁의 원인이라고 보고, 목자-양 은유의 역사와 목자의 죽음을 비교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내 방향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분쟁의 원인이 선한 목자의 자발적 죽음이라는 이례성이 아니라 예수와 하나님의 하나됨(oneness)이라는 요한의 기독론, 일부 유대인의 시각에는 신성모독에 해당하는 죄라는 해석으로 바뀌었다. 전후 관계가 선명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내가 연구 범위에서 유대 메시아사상을 아들됨(divine sonship)을 대체한 이유이기로 하다.

예수께서 자기와 아버지는 하나라고 선포하실 때 유대계 그리스도인들은 예수의 신적 정체성으로 받아들이지만, 유대인은 신성모독으로 해석한다. 이 같은 거리감은 결국 예수의 십자가 처형으로 이어지고, 예수의 부활을 통해 기독 공동체의 정당성이 입증된다.

목자-양 은유의 역사와 선한 목자의 죽음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지만, 분쟁의 원인에 대한 시각이 변해서 연구 방향이 조정되어야 한다. 연구 범위가 꽤 넓고 깊다고 판단되지만, 이미 벌어진 일이라 수습할 일만 남았다.

,

요한복음 완성 시기는 예루살렘 성전 파괴 (AD 70) 이후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다. 요한이 새로운 복음서를 기록하면서 절기를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유대인의 성전 중심 절기를 대체하려는 의도이다. 요한은 유대계 그리스도인의 유대적 사고를 전환하여 성전 되시는 예수를 신앙의 토대로 삼아야했다.

요한은 예수께서 생전에 유대 절기를 지키셨다고 기록한다. 비록 요한이 자기 고유의 신학으로 예수의 생애와 절기를 배열하지만, 요한의 예수는 절기 준수에 신실했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그러나 '예수=성전'이라는 신학을 통해 요한 공동체는 더 이상 절기를 준수하지 않아도 되며, 장소의 구애 없이 예배를 드릴 수 있다 (참조. 4:21).

안식일은 독특한 기능이 있다. 유대인과 예수 사이의 갈등이 촉발되는 시점이 안식일에 베데스다 연못 주변에서 병자를 고치신 일에서 시작된다 (5장). 유대인의 반발을 악화시킨 것은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자를 치유할 수 있는 권위로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안식일 위반은 유대인의 박해가 시작되는 원인이고, 신성모독은 유대인의 살해 위협이 시작된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요한복음에서 안식일은 유대인과 예수의 갈등이 촉발하고 끝내 죽음으로 치닫게 한다.

요한복음의 예수는 유대 절기는 준수하지만, 안식일 준수는 개의치 않았던 것처럼 묘사된다. 예수께서는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 "(5:17)고 답할 뿐이다. 안식일과 예수의 정체성 사이의 관계는 더 관찰해야겠으나, 현 단계에서는 안식일이 병자 치유라는 사건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 완성을 위한 의지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

아직 마감해야 할 원고 작업이 있으나, 근래 이 주제에 관한 자료를 읽고 있다. 이 부분의 얼개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내 논문 완성 시기가 달라진다.

요한의 의도에 따르면, 내 연구 주제의 주축인 목자-양 유비, 초막절, 아들됨 중에서 아들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내 판단에 각 주제에 관한 선행 연구가 미흡하고, 세 축을 연결한 해석이 마땅치 않다. 그래서 목자-양 유비와 초막절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아들됨에 관해서는 앞 두 주제와 달리 전승 비평으로 접근하지 않고, 요한의 논리를 명쾌하게 드러낼 방안을 모색 중이다. 박사 학위 논문에서는 차후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정도에서 만족하려고 한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initions of Antisemitism  (0) 2024.09.20
The Guardian University Guide 2025 – rankings  (0) 2024.09.13
굽이굽이 돌아도  (0) 2024.09.10
학위 논문 제출 과정 교육  (0) 2024.09.04
조성진 공연과 뒷풀이  (0)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