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역사적 아담 논쟁에 대한 번 포이트레스(Vern Poythress) 교수와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참고로 포이트레스는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교 교수이며, 국민일보에서 선정한 21세기 신학자들에 꼽힌바 있습니다.



Does God use evolution as a process to create living things?

http://www.christianity.com/theology/creation/does-god-use-evolution-as-a-process-to-create-living-things.html

,

안인섭 교수(총신대 역사신학)의 “개혁주의 예배는 참여자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혁신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예배는 ‘개혁주의적인 전통’에 충실해야 한다”한다는 말에 적극 공감한다. 예배에도 혁신이 필요하다. (2014.04.05)



“가장 성경적이고 검증된 것이 바로 개혁주의 예배”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71265


,

Franz Julius Delitzsch의 <Biblical commentary on the Psalms>를 아키브에서 제공하고 있네요,



Biblical commentary on the Psalms

https://archive.org/details/biblicalcommenta188301deli

,

고든 웬함의 시편 연구는 총 2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 Psalms as Torah: Reading Biblical Song Ethically (Studie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 Baker Academic / 2012


⊙ The Psalter Reclaimed: Praying and Praising with the Psalms / Crossway / 2013

,

S. R. Driver의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를 아키브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https://archive.org/details/introductiontoli00driv

,

위키피디아의 기록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라틴어로 "더 완전한 의미"를 뜻한다. 성서주해에서 이 용어는 하나님에 의해 더 깊은 의미가 의도되었으나, 인간 저자가 의도한 의미는 아닐 때 사용한다. 이 용어는 앙드레 페르난데즈에 의해 만들어졌고, 레이몬드 브라운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이 용어는 "더욱 충만한 의미", "충만한 뜻", "보다 나은 의미" 등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위 설명을 고려해 보면 "더 완전한 의미"가 적절해 보인다.


sensus plenior

http://en.wikipedia.org/wiki/Sensus_plenior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kungsgeschichte  (0) 2017.06.28
모순어법(oxymoron)  (0) 2017.03.06
절기 모형론(Festival Typology)  (0) 2014.04.01
hapax-legomenon  (0) 2013.05.08
agon motif  (0) 2013.04.02
,

A. J. Wensinck, Arabic New-Year and the Feast of TabernaclesAmsterdam :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1925.


http://menadoc.bibliothek.uni-halle.de/ssg/content/pageview/836677

'성서신학 > 고대근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L에서 제공하는 고대근동 논문집  (0) 2014.10.14
,

Joseph Hochman의 <Jerusalem temple festivities>를 아키브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1910) https://archive.org/details/jerusalemtemplef00hochiala

(1911) https://archive.org/details/jerusalemtemplef00hochrich

,

Norman Hillyer, "First Peter and the Feast of Tabernacles," Tyndale Bulletin 21 (1970): 39-70.

http://www.tyndalehouse.com/TynBul/Library/TynBull_1970_21_02_Hillyer_1PeterFeastTabernacles.pdf

,

참고자료를 찾다보니 이 단어가 눈에 들어오네요. 절기 모형론이라.. 이런 모형론이 존재했던가요? 아담 모형론, 모세 모형론 등 여러 모형론에 대해 접해봤어도 이 용어는 낯서네요.

이 단어를 사용한 저자에 대해 검색해보니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신학자로 나오네요. 이 종교단체는 주일이 아니라 안식일을 지키다 보니 교리확립을 위해 만들어진 방법론으로 여겨지는군요.

찝찝한 배경을 가진 용어이긴 합니다만, 구약은 물론이고 신약에서도 절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건 분명하니 활용해도 무방할 듯 합니다.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순어법(oxymoron)  (0) 2017.03.06
sensus plenior  (0) 2014.04.10
hapax-legomenon  (0) 2013.05.08
agon motif  (0) 2013.04.02
enallage  (0) 201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