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탈신학화와 신학화

성찰 2024. 7. 11. 21:15

개인적으로 성경 본문 분석부터 시작해서 성경 신학을 정립하려는 이상을 갖고 있다. 내 앞날을 장담할 수 없지만, 평균치에 대입해서 추정해보면, 내가 가장 먼저 집중할 영역은 요한복음의 신학이다. 요한복음에서 현 박사 학위 논문에서 다루는 목자 은유와 아들됨(divine sonship)을 기반으로 기독론을 더 세밀하게 다룰 예정이고, 유대 절기와 요한의 절기 사용을 비교한 연구를 후속작으로 다룰 예정이다. 요한복음 이외에는 마태복음이나 요한계시록의 기독론을 다룰 예정이다. 기독론의 출발점은 목자 은유이다. 그럴 일은 없어 보이지만, 혹여나 바울을 다뤄야 한다면, 시도할 만한 주제를 갖고 있다. 내 연구 여정은 임용과 학교 사정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본문 해석에서 여러 장벽에 부딪히지만, 선행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성경 연구자들의 신학이다. 어쩔 수 없는 일이겠으나, 성경 연구자들조차 본문이 아닌 신학을 투영해 본문을 해석하는 일들이 곧잘 발생한다.

현재 집중하고 있는 요한복음의 대속죄일 혹은 예수의 제사장직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 있는데, 관련 글에서 예수의 제사장직이라는 신학을 기반으로 요한복음의 특정 본문을 해석한다. 한편으로는, 요한복음에서 직접적인 단서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시인한다.

내 연구가 힘든 이유는 신학을 배제하고 본문의 의미를 도출하려는 시도 떄문이다. 만약 관행대로 신학을 투영해 내 연구를 진행한다면 훨씬 쉽게 결과물을 생성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성경신학자가 되기로 각오하고, 유학을 결심한 이유는 성경 본문 그 자체가 갖는 진의를 드러내는 것이 내 일이라고 믿기 때문에 최대한 타협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어쩌면 내 연구가 기반을 다지기 전까지는 상당히 고전하지 않을까 예상된다. 이미 몇 년 동안 경험하고 있는 일이지만,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성경 본문을 기초로 한 성경신학은 이상적인 말이지만, 현실은 험난한 길이다.

,

박사 학위 논문 이후 진행할 연구 주제 중 하나는 "신약의 목자 기독론"이다. 근래 이와 관련된 작업을 진행하며 관찰한 일부를 적어본다.

사복음서에서 대표적인(혹은 내가 발견한) 목자-양 은유 본문은 마태복음 9:36–38; 15:21–28; 마가복음 6:30–34; 요한복음 10:1–21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복음서를 공관복음서와 네 번째 복음서로 나누는데, 공관복음서 사이에는 유사성이 발견되지만, 그와 반대로 네 번째 복음서의 독특성이 두드러진다. 복음서 저자들의 목자-양 은유도 둘 사이의 차별성이 나타난다.

1. 마태복음 9:36–38과 마가복음 6:30–34에 나타난 목자-양 은유
먼저, 두 목자-양 은유를 살펴보자.

마태복음 9:36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

마가복음 6:30
예수께서 나오사 큰 무리를 보시고 그 목자 없는 양 같음으로 인하여 불쌍히 여기사 이에 여러 가지로 가르치시더라

각 본문에서 확연히 드러나듯이, 마태와 마가의 목자-양 은유는 "목자 없는 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예수의 불쌍히 여기심"이 저자의 관심사이다. 독자가 간과하지 말하야 할 또 다른 저자의 강조점은 "예수의 가르침"이다. 마태와 마가는 목자-양 은유와 예수의 가르침을 의도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마태복음 9:35 
예수께서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사 그들의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라

마가복음 6:30
예수께서 나오사 큰 무리를 보시고 그 목자 없는 양 같음으로 인하여 불쌍히 여기사 이에 여러 가지로 가르치시더라

1.1. 마태복음 15:21–28에 나타난 목자-양 은유
마태의 다른 용례는 15:24에 나타난다.

마태복음 15:24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 하시니

여기서 목자-양 은유는 "이스라엘 집의 읽어버린 양"이란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앞서 9:36의 "목자 없는 양"과 동일한 맥락이라 볼 수 있다.

2. 요한복음 10:1–21
요한의 목자-양 은유는 마태와 마가의 그것과 상당히 다르다. 요한은 목자-양 은유의 전형적인 용례에 따라 양 떼를 보호하는 목자의 직무를 강조한다. 하지만 요한은 전통을 벗어나 선한 목자의 자발적인 죽음을 선포한다. 요한은 목자-양 은유를 통해 성도의 영생을 위한 예수의 죽음이라 선한 목자라는 새로운 영역을 창조해 낸다.

,

학회 발표 전략 수정

끄적 2024. 7. 11. 00:30

8월 말 학회 발표 일정을 마치면, 성서학 분과 주요 학회는 대부분 다 발표자로 참석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일단 유럽성서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Biblical Studies, EABS)와 영국신약학회(British New Testament Society, BNTS), SBL International Meeting 등에서 이미 발표했거나 조만간 할 예정이고, 북아메리카는 Catholic Biblical Association과 Enoch Graduate Seminar에서 발표를 마쳤다.

8월 말까지는 전액 자비로 참여한(할) 학회가 있는데, 9월부터는 학교 Travel Awards에 선정된 일정과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학회에 선별적으로 참가하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