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아래 내용은 <어떻게 시편을 읽을 것인가>란 책의 119-133쪽을 정리한 것이다.


1. 동의적 평행법(synonymous parallelism)
대부분의 해석자들에 따르면, 동의적 평행적은 두 개의 다른, 그러나 밀접하게 관련된, 일련의 단어들을 사용해서 두 개의 다른 시구에 똑같은 생각을 반복하는 것이다.

2. 반의적 평행법(antithetic parallelism)
반의적 평행법이란 호칭은 사람들에게 이 범주의 평행법이 동의적 평행법과 정반대되는 것이라는 잘못된 인상을 줄 수가 있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반의적 평행법은 동의적 평행법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로우스에 따르면, 둘 다 다른 용어를 사용해서 똑같은 생각을 두 번 진술한다.
또 이 호칭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이 시구가 두 가지 반대되는 명제를 진술하고 있다는 오해를 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로우스는 동의적 평행법에서처럼 이번에도 똑같은 생각이 표현되는데 다만 동의어 대신에 반의어(의미가 서로 반대되는 단어)가 사용되는 것이 다를 뿐이라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똑같은 생각이 두 개의 다른 종종 반대되는 관점에서 표현된다는 것이다.

3. 종합적 평행법(synthetic parallelism)
종합적 평행법은 두 번째 시구가 첫 번째 시구를 완성시키거나 보완하는 시행을 일컫는 것이다. 굳이 이 범주를 존속시켜야 한다고 말할 만한 명확한 근거는 없다. 사실상, 종합적 시행은 전혀 대구를 이루고 있는 것 같지가 않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동의적이지도 않고 반의적이지도 않은 시행들에 '잡동사니 주머니'(catchall)라는 호칭을 붙여 왔다.

4. 상징적 평행법(emblematic parallelism)
상징적 시행 가운데 있는 시구들의 하나는 신학적, 또는 교훈적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른 생활 영역으로부터 두 가지 생각을 모으기 위하여 비교의 단어(…처럼, …같은)를 사용한다.

5. 반복적 평행법(repetitive parallelism)
반복적 평행법은 두 번째 시구에서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진술로 첫 번째 시구를 시작하지만, 동의적 평행법에서 그런 것보다는 두 번째 시구가 더 전일보한 의미를 담고 있다.

6. 추축 양식(pivor pattern)
이 유형의 평행법에는 시행의 중간에 한 단어나 한 절이 위치해 있어 A구와도 또 B구와도 읽을 수 있고 또 읽어야 한다.

7. 교차평행법(chiasm)
교차평행법이란 호칭은 두 개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를 띠고 헬라어(즉 대문자 X)의 이름 키(chi)에서 나온 것이다. 이것은 아주 잘 붙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도해할 경우 간단한 교차대구 시행이 X의 형태를 띨 것이기 때문이다.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olatrism  (0) 2011.03.15
merism  (0) 2011.03.10
Strophic Structure  (0) 2008.08.05
병렬적 구조와 종속적 구조  (0) 2008.05.20
Concepts of Narrative  (0) 2008.04.11
,
Bible Works 7.0를 사용하여 특정 범위내에서 사용된 단어를 검색하는 방법입니다.


1) Tools에서 Word List Manager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File에서 Load Word List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Verse range에서 범위를 지정하고, Create List를 누릅니다.

'연구도구 > Bible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T  (0) 2008.12.11
Bibleworks 7에서 사용하지 않는 성경번역본 삭제하는 방법  (0) 2008.11.27
BHT  (0) 2008.10.07
Greek New Testament Audio  (0) 2007.03.12
BibleWorks 사용법  (0) 2007.03.12
,
정직하게 살아가려는 사람들을 좌절게 하는 것.

내가 해 아래서 한가지 폐단 곧 주권자에게서 나는 허물인득한 것을 보았노니 우매자가 크게 높은 지위를 얻고 부자가 낮은 지위에 앉는도다 또 보았노니 종들은 말을 타고 방백들은 종처럼 땅에 걸어다니는도다 (전도서 10장 5-7절)


그 이유가 무엇일까?
,
출처 : 서울 신약학 연구소 "예수님과 토지 (예수원 강의, 2008년 여름)"


,
바리새인은 의인인가?

In fact, for the purpose of the parable, the Pharisees are the 'righteous'! One would not guess, on the basis of these parables, that the Pharisees are represented elsewhere in the Gosple of Luke as the enemies of God.
Those 'in the fold', that is, the Pharisees, are criticized only for their inability to rejoice over the 'found' and, by extension, their failure to seek them themselves.[각주:1]


우리는 바리새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데, 위 설명은 어떠한지 읽어보자.
  1. David A. Neale, None But The Sinners: Religious Categories in the Gosple of Luke,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58 (Sheffield: JSOT Press, 1991), 163. [본문으로]
,

진정한 자기부인

성찰 2008. 8. 29. 12:17

맥시 더남(Maxie Dunnam)의 "설교자의 거룩" 중에서

루르드(Lourdes, 프랑스 남부 피레네 산 기슭에 있는 작은 마을로 성모 마리아의 발현으로 잘 알려져 있다 - 옮긴이) 마을에 관하여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 하나가 있다. 이 마을의 나이든 어떤 사제는 신문사 기자로부터 지금까지 이 마을에서 본 것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기적을 소개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 기자는 이 사제가 누군가 질병을 안고 루르드 마을을 찾았다가 완전히 고침을 받고 떠난 놀라운 사례를 들려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이 사제는 이렇게 대답했다. "루르드에서 지금까지 내가 목격한 것 중에서 가장 놀라운 기적은 전혀 고침을 받지 못하고 돌아가면서도 얼굴에서 밝게 빛나는 체념의 표정을 보았을 때입니다."

- 유진 피터슨, 마르바 던 외, 영혼을 살리는 설교, 이승진 역 (서울: 좋은씨앗, 2008), 135-136.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석번역에 대한 단상  (0) 2010.12.22
성경의 의도적인 모호함  (0) 2009.11.09
유대인들의 구심점은 율법  (0) 2008.08.21
인간의 창조 이유  (0) 2008.08.07
죄의 악함  (0) 2008.08.07
,

모세의 율법은 하나님이 주셨다. 하지만 관습은 사람에게서 나왔다. 모세의 율법에 하나님의 정신이 담겨져 있지만, 인간에게 그 심오함은 현실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제공하지 못했다. 인간은 하나님의 정신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므로.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지나친 현실적 적용은 율법을 수 많은 가지로 뻗어 나가도록 만들었다. 그래서 헬라 유대인들은 "유대 법을 '관습'(Jewish laws as 'customs')으로 묘사했다."[각주:1]

  1. S. G. Wilson, Luke and the Law,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03. [본문으로]
,
유대인들의 구심점은 '율법'이었을까? '성전'이었을까?

The Law, not the Temple, united the Jews.—To an impartial observer it might have seemed that Judaism must disappear when the Temple at Jerusalem was destroyed.[각주:1]

율법은 유대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성전이 아니다).
— 만약 유대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성전이라면,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었을 때 유대주의가 사라졌어야 한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구심점은 '하나님의 말씀'이어야 하는가? '교회 건물'이어야 하는가?
  1. F. J. Foakes Jackson, Josephus and the Jews: The Religion and History of the Jews as Explained by Flavius Josephu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7), 59. [본문으로]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의 의도적인 모호함  (0) 2009.11.09
진정한 자기부인  (0) 2008.08.29
인간의 창조 이유  (0) 2008.08.07
죄의 악함  (0) 2008.08.07
우리에게 믿음을 주소서  (0) 2008.07.03
,
Loeb Classical Library
http://www.hup.harvard.edu/loeb/
,
성서학을 공부하려면 히브리어, 성서 그리스어, 영어는 기본이다. 특히 구약학을 전공하려면 이 정도의 히브리어 사전는 구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The Dictionary of Classical Hebrew
http://www.sheffieldphoenix.com/browse.asp?serid=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