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10/5 CISSR Annual Meeting on Christian Origins
University Residential Centre of Bertinoro, Italy
온라인으로 "Jewish Davidic Messianism and Jesus’s Kingship and Sonship in John 10"라는 주제로 발표합니다.

10/10-11 CBA Emerging Scholars Conference 2024
관계자로부터 콘퍼런스에 Respondent로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한 섹션에서 발표자들의 소논문에 응답하는 역할입니다. 논평자보다는 자유롭게 제 생각을 밝히고 질문을 구하는 역할로 보입니다.

10/15 EABS Annual Graduate Symposium 2025 제안서 제출
2025년 3월 4~6일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에서 열리는 심포지엄에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발표는 온라인으로 할 생각입니다.

11/01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Pseudepigrapha 원고 제출
출판 심사를 위해 원고를 수정해 제출해야 합니다. 1차 심사 위원이 학회 관계자들이고, 그들이 원고 수정 요청을 한 상황이라 힘든 작업은 아니겠으나 저널 수준을 고려해 신중히 작업해야 합니다.

11/30 CBL 학회 소논문 모음집 원고 제출
학회 소논문 출판 프로젝트입니다. 희망자에 한해 원고를 선별해서 출판하기 때문에 선배 학자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습니다. 혹여나 반려되더라도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 프로젝트만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올 한 해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이외에 학위 논문 작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

요한복음에서 이름을 적시하지 않은 절기는 '유대인의 명절'(5:1)이 유일하다. 난 부림절의 유래와 요한의 절기 사용이 동떨어져 있으므로, 요한이 의도적으로 절기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관련 글: 요한복음 5장의 유대인의 명절과 안식일의 유기적 관계)

그러나 유대인의 정체에 관한 Ruben Zimmermann의 “The Jews”: Unreliable Figures or Unreliable Narration?을 읽으면서, '유대인의 명절'이 '부림절'이라는 해석이 옳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부림절은 하만의 유대인 말살 음모에서 벗어난 기쁨을 기념한 잔치에서 유래한다 (에 9:17-22).

그러나 요한복음 5장은 예수와 유대인 사이의 갈등이 시작된다. 갈등의 시작은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자를 치유하셨다는 이유이며 유대인들은 박해로 반응한다 (5:16). 이후 유대인은 예수의 대적자로 묘사되고, 둘 사이의 갈등은 심화하며, 결국 예수의 죽음까지 이르게 된다.

부림절이 유대 민족 구원이라는 측면에서 예수의 구속사와 맞닿아 있지만, 에스더 시대의 유대인이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났던 것과 달리 예수님의 사역을 목격했던 유대인들은 영생을 베푸시는 예수를 대적한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 (5:24)

요한이 부림절을 적시하지 않은 이유는 익명성으로 청중과 독자의 호기심을 북돋우고, 절기의 기원과 예수의 사역에 대적한 유대인의 역설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

선한 목자 담론에서 절기를 명시하지 않지만, 초막절과 수전절 사이에 있는 이 담론의 배경이 초막절이라고 많은 학자들이 합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그들조차 선한 목자 담론에서 초막절의 역할을 제시하지 않는다. 선한 목자 담론에서 초막절을 강조하지 않기도 하지만, 담론 내부에서 초막절을 고려하지 않아도 본문 이해에 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한다. 

나는 선한 목자 담론의 배경이 초막절이라는 전제를 수용하며, 이 절기가 그저 배경이 아니라 담론 해석의 중요한 틀이라고 전제한다. 선행 연구와 다른 내 전제는 나 스스로 어려움에 봉착하게 만든다. 나는 선한 목자 담론은 초막절을 배경으로 읽어야 한다는 의견을 고수하는 이유는 스가랴서 9-14장의 영향이 크다. 스가랴서 9-14장은 목자-양 유비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심판과 회복을 그리며, 14장에서는 목자 언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하나님께서 왕으로 등극하시고 이방 국가에 초막절 준수를 명령하신다. 나는 요한복음 7:1[2]-10:21의 배경인 초막절과 선한 목자 담론의 목자-유비가 스가랴서 9-14장과 유사하다고 해석한다. 스가랴서 14장 하나님의 왕 등극과 이방 민족의 초막절 준수를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에서 성취로 해석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요한복음의 유대 절기는 단순한 시간 표지(temporal markers)가 아니라 예수의 사역과 정체를 설명하는 보조 장치이자 성전 파괴 이후 요한 공동체의 신앙을 정립하는 수단이라 여겨진다. 정리하자면, 선한 목자 담론에서 초막절을 고려하면, 예수의 왕권과 요한 공동체의 위기를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요한의 유대 절기 변형은 유대 기독교인 공동체 내부의 이해 차이를 고려한 결론이라 볼 수 있다.

,

요한복음을 에스겔 환상의 네 동물 중 독수리로 규정하는데, 그 이유는 영적인 복음서라는 특징 때문이다.

요한복음은 그 시작부터 심오하다. 예수를 태초의 하나님과 존재했던 로고스로 규정하고 그의 성육신을 선포한다. 이 외에도 요한복음은 고기독론(the high christology)으로 분류되는 남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혹자는 요한의 고기독론에 최상급 the highest를 사용하기도 한다.

요한복음 기독론은 독특하다. 내 연구 주제인 선한 목자 담론만 하더라도, 예수는 제 죽음과 부활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공관복음서에서 예수의 죽음을 수동적으로 그린다면, 요한복음은 그것을 예수의 자발적인 선택으로 묘사한다.

요한의 고기독론은 요한 공동체를 구별하는 신학이기도 하다. 혹자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유대인이 요한의 고기독론을 수용하지 못하는 기독교인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런 해석은 반셈족주의(=반유대주의)에 대한 또 하나의 극단적인 반항으로 보인다. 확실한 것은 요한의 고기독론이 요한 공동체와 유대인을 가르는 지표로서, 유대주의와 기독교의 분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0월 3~5일, University Residential Centre of Bertinoro, Italy에서 열리는 CISSR Annual Meeting 등록했습니다.

발표는 5일 토요일 아침 9시 (CEST)에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발표 주제는 "Jewish Davidic Messianism and Jesus’s Kingship and Sonship in John 10"입니다.

근래 유대인의 정체에 관한 자료를 읽으면서 많이 배우고 있는데, 제안서보다 더 나은 원고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

유튜브로 즐겨 보는 것 중 하나가 종합격투기(MMA)이다. 판정 이후 선수 인터뷰에 본인 경기력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자신의 실력이 경기에서 발휘가 잘 안되었고, 훈련한 기술들이 경기에서 잘 안 나왔다는 말을 자주 한다. 예를 종합격투기로 제시했지만, 이와 유사한 사례는 자주 접할 수 있다.

냉정하게 말하면 경기에서 발휘된 실력이 그의 현주소이다. 그들이 말하는 훈련 때 발휘되는 실력은 실전에서 발휘될 수 있는 가능성의 최대치일 뿐이다. 연습과 실전이 다르다고 하지만, 모든 평가는 실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연습은 실전을 대비한 훈련일 뿐 그 과정에서 발휘되는 능력을 실전 능력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스파링 고트가 탑 랭커가 되지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스파링 잘 한다고 자신의 실력을 과신하다면 그는 현실을 모르는 사람이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의식과 해석 능력  (0) 2025.01.09
독자 친화적 글쓰기  (0) 2024.10.11
학회 제안서가 반려된 이유?  (0) 2024.08.18
유대 신학의 형성과 발전: 편집비평의 필요  (0) 2024.08.15
트라우마와 신학  (0) 2024.08.07
,

내 박사 학위 논문의 주요 질문은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에서 발생한 유대인 무리의 분열(19–21절)이다. 즉 나는 왜 유대인 중에 일부는 예수의 가르침에 반발하고, 일부는 예수의 이적을 근거로 그의 가르침을 수용하는지 묻는다.

나는 선한 목자 담론에서 목자-양 유비를 사용해 선한 목자 자신의 목숨을 내려 놓는다는 그의 구속사적 사역에 관한 선포에 분열의 원인이 있다고 전제한다. 고대 근동, 구약 성경, 제2성전기 문헌, 그리스-로마 문헌에 이르기까지 목자-양 유비는 전통적으로 왕권 사상과 결합하여, 목자의 죽음은 이례적인 가르침이라는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예수님께서도 자신의 가르침이 내포한 예외성을 아시기 때문에 자신의 신적 권위와 아버지의 계명으로 그 정당성을 설명하신다 (18절).

유대인 군중의 반응은 예수의 담화 이후에 묘사된다 (19-21절). 회중의 반응이 서술된 시점에서 분쟁의 원인을 꼽기에, 분쟁의 발화점이 어디인지 애매하지만, 예수께서 선한 목자의 자발적인 죽음에 대한 정당성을 설명하는 내용이 그 지점이라고 봐야 한다. 즉 선한 목자의 죽음이 분열의 원인이 아니라, 예수와 하나님 사이의 하나(oneness)라는 주장이 분열의 원인이다.

내가 연구 제안서에서 '유대 메시아사상' 대신에 '아들됨'(sonship)을 목차에 집어 넣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유대 메시아사상은 목자-양 유비와 연결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몇 가지 주제를 개략적으로 포함하면 된다. 그러나 요한복음 해석자로서 요한이 바라본 예수를 온전히 그려내려면, 후자에 더 집중해야 한다. 

그러나 선한 목자 담론의 흐름에 따라 선한 목자의 죽음이 목자-양 유비에서 예외적이라고 입증해야 후속적으로 아들됨 연구의 적절성을 제시할 수 있다. 내 연구의 범위와 학위 취득 소요 시간을 감안하면, 집중할 수 있는 주제가 한계가 있어서 '아들됨'은 개괄적으로 다루고 박사 학위 취득 이후 집중할 연구 주제로 삼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편, 유대 군중의 분열은 유대주의의 분화 혹은 기독교 기원의 시발점이기도 하다. 최소한 요한 공동체의 관점은 그러하다. 참고로 학계에서는 '유대교-기독교 관계'(Jewish-Christian Relations)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요한복음이 반셈족주의(=반유대주의)라는 전제가 만연해 있다. 차후 내 연구는 이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관계를 맺게 되어 있는데, 현재 요한복음이 지극히 유대적이라는 내 관점을 고수할 수 있을지 아니면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될지 궁금하다.

,

The Shadow of the Divine Shepherd: The Platonic Metaphor of the King and Statesman in Clement of Alexandria (in Czech)
https://www.reflexe.cz/Reflexe_26/Stin_bozskeho_pastyre._Platonska_metafora_krale_a_politika_u_Klementa_Alexandrijskeho.html

,

요세푸스는 Against Apion에서 Hyksos의 이름이 "왕-목자" 혹은 "포로 목자들"이라는 의미이며 (특히, 81-83), 자신이 후자를 지지하는 이유를 사례로 들어 설명한다 (84ff).

전자는 목자-양 유비에서 목자-왕 전승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후자는 효용 가치가 없다. 우선 내 연구 범위에서 제외한다.

,

BNTS 2024 발표 완료

소식 2024. 8. 24. 05:48

오늘 오전에 글라스고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요한 문헌(Johannine Literature) 분과에서 "The Death of the Good Shepherd Discourse in John 10 and Its Background"라는 주제로 발표를 마쳤습니다. 온라인 발표가 가능했으나, 현장에서 발표하고 싶어 버스 왕복 6시간을 투자해 다녀왔습니다. 학회를 다니다 보니 몇 차례 보게 되는 학자들이 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