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1. 학부 과정
UStA 학부는 첫 2년 동안 평가를 받지 않고, 3-4학년이 되어서야 점수를 받는다고 한다. 학교에서 여유를 즐기는 학생이라면 1-2학년이고, 도서관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면 3-4학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매년 조사하는 학업 만족도 결과에 의하면, 수차례 동안 UStA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자율성과 평가 방식 등에서 학생 스스로가 만족을 느끼고 있음이 틀림 없다. 학부생들을 만날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는데, 나중에 이 부분에 대해 대화를 해보고 싶다.

2. 석사 과정
석사 과정에 대해서는 taught programme에 재학 중인 2분으로부터 직접 들은 이야기인데, 1년 반, 즉 3학기 동안 강의를 듣고 페이퍼를 써내고, 마지막 한 학기 동안 졸업 논문을 쓴다고 한다. 학습량이 어마무시하지만, 현지에서 공부하고 있는 A 목사님의 말로는 영국 내에서 가장 빡세고 여기서 잘 하면 어디에서나 통한다고 하고, 학업 만족도는 아주 높다고 한다. 현재 distance learnig으로 공부하는 B 목사님도 비슷한 말을 한 적이 있다.

3. 박사 과정
박사 과정은 내가 경험하고 있는데, 시작을 distance learning으로 하고 중간에 현지에 온 희박한 경우이지만, 과도하게 비싼 학비에 비해 수업이나 세미나 등으로 지원 받는 것이 적어서 불만이긴 하지만, 그외에는 딱히 불만이 없다. 이러한 평가는 다른 박사 과정 학생들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구약학의 경우 C 교수의 지도로 자신의 집에서 매주 세미나를 갖는다고 한다. 학교의 공식적인 세미나와는 별개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인데, D 목사님은 아주 만족스럽다고 한다.

내 경우 지도 교수가 조만간 자신이 지도하는 또다른 학생과 내가 매주 모여 미팅을 가질 예정이라고 한다. 원래 요한복음 전공으로 지원했던 학생과 같이 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음.

이 학교에서 만족스러운 부분은 The Roundel이라는 곳을 하루 24시간, 일년 365일 동안 연중무휴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내부 공사 기간을 제외하고 말이다). 방마다 여러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여 개방감으로 인해 나처럼 예민한 사람들은 신경이 좀 쓰일 수 있지만, 하루 종일 죽치고 있는 사람들은 별로 없어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또한 나처럼 수업에 흥미를 못 느끼고 혼자 글 읽고 사색하고 글쓰기를 즐기는 유형은 이런 체계가 매우 만족스럽다. 그럼에도 여전히 학비는 불만이다.

,

내가 만약 30대 초반에 목회학 석사 과정을 마쳤고, 지금처럼 Distance Learning으로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면, 다음처럼 진로를 계획하겠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English Program에서 ThM을 마친다. 보통 유학 경험이 없어서, 특히 바로 영국으로 유학가서 헤매는 사례를 종종 본다. 한국에서 ThM을 하는 쪽이 덜 고생하는 길인데, 이왕이면 영어 과정을 하면서 영미권 학교 방식에 익숙해지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University of St Andrews에서 Bible and the Contemporary World – distance learning (PGDip/MLitt)를 한다. Part-time으로 2-5년 정도 소요된다. 현재 이 과정에 있는 A 목사님과 대화를 종종하는데, Taught Programme라 교수의 강의를 들고 페이퍼를 써야 하고, 과정의 특성대로 현 시대 상황과 밀접한 주제를 다룬다고 한다. 전통적인 성서학을 익히는 과정이 아니라 다소 헤맬 수 있지만, 미리 한국에서 석사 과정을 했다면 쉽사리 적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PhD by Distance를 진행한다. Full-time 기준으로 평균 4년 정도 소요되니까, Part-time으로 8년을 잡고 공부하면 되겠다.

이렇게 해도 45세 쯤에는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 파트로 교회사역을 꾸준히 하면, 교수 사역이든 교회 청빙이든 다 가능하다. 교회 청빙은 학위 취득 후 전임사역을 몇 년 더 해야겠지만.

난 앞으로 2-3년이면 박사 과정을 마칠 듯하고, 비자 연장 제한으로 스코틀랜드 현지에서 학업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이라 다른 대안은 없다. 그러나 만약 해외 유학을 경험해보고 싶지만, 막상 망설여진다면 이런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모든 건 본인의 선택!

,

어제 내 신학석사(ThM) 학위 논문을 지도해주신 A 교수님을 뵈었다. 금요일에는 학교에 안 나가신다고 해서 자택 부근에서 만났는데, 나로서는 거리상 이점이 있어서 좋았다.

내가 A 교수님에게 최소한 세 가지에 감사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위 논문의 방향성에 대한 확신을 주셨다는 사실이다.
당시 학위 논문을 위해 2주마다 만났는데, 그때마다 나는 내 분석과 주장 등에 자신이 없었다. 내 분석에 의하면, 선행연구의 헛점은 명확했고, 내 주장과 근거가 타당하게 여겨졌지만, 내가 아는 한 지금까지 나와 동일한 주장을 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에 자신이 없었다. 그러나 매번 교수님은 설득력이 있어보이니 자신있게 쓰라고 말씀해 주셨다. 그렇게해서 내 학위 논문이 나왔다. 이 논문은 Calvin Seminary에서 Gary M. Burge 교수의 지도로 요한복음 10장의 선한 목자 담론에 적용하는 토대가 되고, 결국 David M. Moffitt 박사의 지도로 박사 학위 논문을 진행하는 단계까지 확장되었다. 내가 확신이 없을 때 격려로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해주셔서 감사하다.

두 번째는, 내 유학 진로를 명쾌하게 상담해주셨다.
A 교수님은 내가 영국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아시면서도, 석사는 미국에서 박사를 영국에서 하라면서 석사는 칼빈으로 가라고 조언해주셨다. 본인이 미국 석사와 영국 박사 과정을 밝기도 하셨다. 그 외에 유익한 말씀을 해주셨고 결국 나는 그대로 이행해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세 번째는, 내 목표 지점을 제시해주셨다.
이 부분은 주변 사람들에게도 잘 말 안하는데, 내가 옥스포드와 케임브리지대학교에 지원할 실력이 있다는 자각을 하게 된 계기가 바로 A 교수님이시다. 그 분이 나에게 지나가는 말로 "사이먼 개더콜(Simon Gathercole) 교수에게 가세요"라는 말을 하셨다. A 교수님이 개더콜의 첫 한국인 제자라고 알고 있었고, 다른 교수님의 수업 시간에 개더콜 교수의 책을 다루기도 했으나, 나에게 자신의 지도 교수를 추천해주실 줄은 몰랐다. 구글링을 해보니 개더콜 교수는 아버딘대학교에서 케임브리지대학교로 옮긴 이후였다. 중간에 여러 사정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나는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에 진학하기로 결정했으나, 내가 옥스브릿지에 도전하게 된 계기가 A 교수님의 말씀 덕분이었다.

본인은 그렇지 않다고 답하셨으나, 나는 이 부분에 대해서 감사함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가 직면한 박사 과정과 이후에 대한 조언도 아낌없이 해주셨다. 이제 학위 취득과 국내 복귀까지 A 교수님의 조언을 현실화하면 된다.

,
어제 심사위원장을 맡은 A 박사가 내 지도 교수인 Davind M. Moffitt 박사가 나에게 Green (satisfactory)를 주었다고 말했다. 나도 평가서를 써야하는데, 그 전에 지도 교수의 평가서를 읽어보았다. 다음은 평가서에 담긴 내용 중 일부이다.
 
"광수는 현지 시간과 차이가 있어도 꾸준히 신약세미나에 참석하여 진정한 성의(real commitment)를 보여주었고, 단지 평가를 넘어서 더욱 발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현재 예외적인 상황으로 인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과제를 잘 수행했고, 현지에 도착해서는 더 발전할 일만 있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다시 유학을 준비한다면  (0) 2022.06.18
신학 석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이유  (0) 2022.06.18
성장과 변화, 현실  (0) 2022.06.02
Apocalyptic  (0) 2022.05.31
단상  (0) 2022.05.29
,

성장과 변화, 현실

끄적 2022. 6. 2. 00:55
나를 보고 별 고생 없이 순탄한 길을 걷었을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내 삶을 아는 사람들은 그런 말을 하지 않는다.
 
나는 성장과 변화를 경험했고, 지금은 열매를 맺기 전 막판 성장기에 진입해 있다.
 
사람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에 한정되는 속성을 갖고 있어서인지, 나 역시 내가 경험한 만큼 다른 사람들도 성장하고 변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있다.
 
그러나 현실은 실망으로 끝을 맺는 경우가 더 많다. 예전에는 실망에 좌절감을 느끼곤 했는데, 지금은 적당히 포기해 버리지 않나 싶다.
 
페북이나 블로그 등을 통해 내 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자세하게 공개하고 있다. 예전에는 어떤 반응을 기대했었다면, 지금은 무덤덤하다가 긍정적인 반응이 오면 그것에 만족하는 수준이다.
 
웨신 시절 같은 연구소에서 공부하던 누나뻘 전도사님은 자조 섞인 어투로 이런 말을 했다. "교수님들은 10%의 학생들을 보고 강의한데요. 나머지 90%는 그 10%를 위한 들러리죠."
 
당시에는 왜 그런 부정적인 말을 하나 싶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게 현실이겠구나 싶다. 어쩌면 그 10%라도 보고 교수들이 강의하는 게 다행이지 않나 싶다.
 
또다른 일화이다. 웨신 시절 A 교수님이 나에게 "청출어람"에 대해 말씀하셨다. 교수로서는 자신을 뛰어 넘는 제자가 나오는게 꿈이라는 식으로 말씀하셨던 기억이 난다. (매번 정확한 문장을 기억하지 못하는 내 기억력이 한심스럽다)
 
그 교수님은 김세윤 교수님을 언급하시면서, 자신이 MDiv 과정 학생일 때 김 교수님이 강의하시는 1학점 짜리 수업들을 들으면서 버텼다고 하셨다. 그런데 나중에 김 교수님이 자신과 B 교수는 내 제자라는 말을 자랑스럽게 하셨는데, A 교수님은 그 말을 듣고 자부심이 생기셨다고 한다. 참고로 A 교수님과 B 교수님은 같은 학교에 재직하던 시절이 있었고, 당시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의 평가에 의하면 서로 옹호상박으로 학회마다 불꽃 튀는 논쟁이 있었고 평소 사이는 아주 좋았다고 한다.
 
아직 학생인지라 지도 교수에게 나는 어떤 학생이 될지 생각하면서, 한편으로는 앞으로 가르치는 입장에서 미래를 꿈꾸어 보면 나는 어떤 상황에 쳐하게 될지 궁금하기도 하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 석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이유  (0) 2022.06.18
Annual Progress Review에 관한 지도 교수의 평가  (0) 2022.06.07
Apocalyptic  (0) 2022.05.31
단상  (0) 2022.05.29
Annual progress review 일정 확정  (0) 2022.05.28
,

Apocalyptic

끄적 2022. 5. 31. 13:00
[Apocalyptic]
UCL-KCL Workshop in Biblical Studies
Thursday 16th June 1.45-7pm BST
Free online event

등록을 마쳤다. 내가 흥미를 느끼는 주제는 맨 마지막 시간이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nual Progress Review에 관한 지도 교수의 평가  (0) 2022.06.07
성장과 변화, 현실  (0) 2022.06.02
단상  (0) 2022.05.29
Annual progress review 일정 확정  (0) 2022.05.28
유학생이라는 신분  (0) 2022.05.27
,

단상

끄적 2022. 5. 29. 14:30
1. 역사학자와 신학자
신약학자 중 자신을 역사학자로 규정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들중에서 학계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가장 대중적인 학자로는 톰 라이트를 뽑을 수 있겠다. 실제로 톰 라이트는 역사적 예수를 연구했고, 『예수의 도전』(성서유니온선교회)을 출간하기도 했다.
 
김선용 박사님은 자신의 모교인 시카고대학 신학부(University of Chicago Divinity School)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자신을 역사학자로 규정하지 않나 싶다.
 
목회학 석사 시절부터 본문비평, 내러티브, 텍스트언어학 등을 접하고 지금까지 실제 학업 과정을 통해 내 자신이 역사학자에 가깝다고 생각하면서도, 여전히 신학자라는 정체성을 인정하고 있다.
 
지금은 본문 해석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장하지 않은 나만의 관점을 다듬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내 독창성인 동시에 저자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어찌되었든 나는 저자의 신학을 내 관점으로 해석하고 구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 영역은 단지 역사학자라는 정체성만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다.
 
2. 독립연구자
실제로 나는 박사 과정 이후를 고민해야 하는 사람이다. 앞으로 2년, 좀더 시간이 필요하다면 3년 안에 학위를 취득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독립연구자의 삶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번역에 관심이 없는 나로서는, 그리고 당장 벌어 먹고 살아야 하는 나로서는, 상당한 후원에 기대지 않는 한 독립연구자의 삶을 걸을 수 없다.
 
당사자의 사정은 모르지만, 외부에서 봤을 때 독립연구자로서 큰 어려움 없이 경력을 쌓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만하다고 본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과 변화, 현실  (0) 2022.06.02
Apocalyptic  (0) 2022.05.31
Annual progress review 일정 확정  (0) 2022.05.28
유학생이라는 신분  (0) 2022.05.27
등록 상태 전환  (0) 2022.05.27
,
방금 reviewer로부터 일정 관련 이메일을 받았다. 나는 최대한 늦게 처리하고 싶은데, 고민할 시간을 주지 않고 시간을 지정해줘서 의견 조율이 쉬웠다.
 
작년 12월에 처음 APR을 했으니, 일년에 두 번, 6개월마다 진행하는 절차인가 보다.
 
지도교수과 학생이 각각 작성해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양식이 있고, APR을 진행하는 교수들은 신학부 내 타 분과에 소속되어 있다.
 
평소에 내 연구에 관해 물어보는 사람이 없지만, 아무래도 이국에 있는 탓이겠지만, 이런 절차가 있어서 게을러질 수가 없다.
 
다음주 화요일까지 a work plan을 제출하려면, 한참 구상 중인 literature review를 서둘러 마무리 지어야겠다. 매번 마감일에 쫒기는 인생이여.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calyptic  (0) 2022.05.31
단상  (0) 2022.05.29
유학생이라는 신분  (0) 2022.05.27
등록 상태 전환  (0) 2022.05.27
치열한 독서과 사고의 변화  (0) 2022.05.26
,

유학생이라는 신분

끄적 2022. 5. 27. 22:47
학교 입학 담당자가 현재 진행 중인 vignette transfer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여권을 받게되면, 내 학생 기록에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갱신된 vignette를 보내달라고 한다. 영국 입국 심사에 사용되는 Entry Clearance Number가 필요한 모양이다. 사실 합격 발표 이후 정식으로 학교에 등록하고, 현지에서 처리했어야 할 일들을 나는 이제야 진행하고 있다.
 
학교는 유학생의 신원 보증 기관이므로, 유학생의 기록을 성실히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 유학 시절 한국에 들어올때마다 학교 내 유학생 담당 직원을 찾아가 서명을 받아야했다. 나는 서명만 필요하지만, 해당 직원은 여러 절차를 진행했을 것이다.
 
OPT로 갈보리교회에서 인턴쉽을 할때도, 해외 여행을 가려면 교회 담당자의 서명이 필요했다. 규정상 해외 여행 일수가 정해져 있었다.
 
영국 규정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해외로 나가려면 학교 담당자에게 보고를 해야 한다는 건 분명하지 않을까 싶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상  (0) 2022.05.29
Annual progress review 일정 확정  (0) 2022.05.28
등록 상태 전환  (0) 2022.05.27
치열한 독서과 사고의 변화  (0) 2022.05.26
교훈들  (0) 2022.05.26
,

등록 상태 전환

끄적 2022. 5. 27. 01:15

교육에 고귀한 가치를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지식산업이라는 특성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예외적으로 허용된 원격 교육(distance learning) 기한이 만료된다. 공식적인 만료일은 6월 30일(목)이다. 이 말은 내가 박사 과정을 지속하려면 만료일 이전에 스코틀랜드 현지로 이동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등록 담당자가 내 출국일정을 묻는다. 왜냐하면, 내 등록 상태를 현 part-time에서 full-time으로 전환해야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만으로 수업료가 2배 증가한다. 이외에 현지 기숙사 비용은 약 3배 증가할 듯하다. 7월부터 소비 총액이 지금보다 대략 3배 가량 늘어난다. 그 비용이 아깝지 않으려면, 나는 현재와 비교해 3배 이상의 효율을 내야 한다. 학교 시설을 이용하고, 현지 생활을 하면서 누리는 혜택을 감안하면 2배 정도면 현실적으로 보임.

어찌되었든 학생은 학업과 기숙사 비용 등을 포함한 비용에 걸맞는 결과물을 내야한다는 압박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돈 많으면 적당히 즐기면 됨.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nual progress review 일정 확정  (0) 2022.05.28
유학생이라는 신분  (0) 2022.05.27
치열한 독서과 사고의 변화  (0) 2022.05.26
교훈들  (0) 2022.05.26
박사 학위 출판과 출판 시장  (0)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