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내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작업 중 하나가 왕과 목자에게 적용되는 어휘군 분류이다. 고대 근동과 고대 이스라엘에서 왕과 목자를 동일시했어도, 이러한 용례를 목자-왕 전승으로 칭하더라도, 실제 어휘 사용에서 구분할 수 있는 사례가 많다. 오늘 살펴볼 규/[쇠]막대/철봉은 왕과 목자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어휘이다. 그래서 이 단어의 대상이 왕인지 목자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솔로몬의 시편 영문판에서 'rod'는 두 번(17:24; 18:7) 사용되었다.

17:24 an iron rod
18:7 the rod of discipline of the Lord’ anointed

이 용례를 목자 은유로 해석한 사례가 있으나, 나는 문자 그대로 왕의 '규'로 간주한다. 솔로몬의 시편에서는 왕권에 관해 말하고 있으며, 직역과 은유를 자유자재로 사용하지만, 대부분 직역으로 해석해야 하는 본문이다. 내가 볼 때 목자 은유가 나타난 구절은 단 한 곳(17:40) 뿐이다.

17:40 He shall be strong in his works and mighty in fear of God,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faithfully and righteously, and he shall not let any among them become weak in their pasture.

이 문장에서 세 단어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their pasture'가 목자 은유에 해당한다.

,

앞서 살펴본 대로, 구약성경에서 '비'는 왕권 사상, 특히 야웨 신앙과 관련이 있다. 제2 성전기 문헌 중 하나인 솔로몬의 시편(The Psalms of Solomon)에도 이 같은 사상이 나타난다.

17:18 They were scattered over the whole earth by lawless men, for heaven withheld the rain from falling on the earth.
17:19 Everlasting springs out of abysses were held back from high mountains, for there was none among them who did righteousness and justice.

17:18 하늘이 땅에 내리는 비를 거두었기 때문에 그들은 무법자들에 의해 온 땅에 흩어졌습니다.
17:19 심연에서 솟아나는 영원한 샘물이 높은 산에서 막혀 있었으니, 그중에는 의와 정의를 행하는 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위 번역은 DeepL Translate를 이용한 결과이다.

두 구절은 '비'와 '영원한 샘물'이 부재한 이유를 악인에게 돌리고 있다. 반대로 의와 정의를 행한다면 비와 영원한 샘물이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하게 된다.

시편 기자는 의와 정의가 다윗과 같은 왕이 등장해야 가능하다고 믿는다.

17:40 He shall be strong in his works and mighty in fear of God,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faithfully and righteously, and he shall not let any among them become weak in their pasture.

다윗 계열의 구원자 사상(Davidic Messianism)과 목자-양 비유의 결합은 다윗 왕권 사상(Davidic Kingship)에서 자주 나타난다.

,

성경의 최종 형태에 관한 다양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실재를 바탕으로 기록되는 결론이 마땅하다고 본다. 예언자 예레미야는 이스라엘의 멸망과 회복을 선언하면서, 이스라엘의 회복이 자신의 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일방적인 선택이라고 이해하게 된다. 즉 하나님의 언약이 아니고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설명할 길이 없다. 예레미야는 이전에 보지 못한 강대국들이 출현하던 시기였고, 그 제국조차도 멸망의 길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살아남았다. 인간의 상식에서 벗어난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은 언약이라는 신앙의 언어였다.

14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배역한 자식들아 돌아오라 나는 너희 남편임이라 내가 너희를 성읍에서 하나와 족속 중에서 둘을 택하여 너희를 시온으로 데려오겠고
15 내가 또 내 마음에 합한 목자들을 너희에게 주리니 그들이 지식과 명철로 너희를 양육하리라

구약에서 언약과 목자의 출현에 관한 예언은 자주 결합하어 나타난다.

,

선지자 예레미야는 목자-양 비유를 약 17번 정도 사용하였는데, 이 빈도는 성경에서 가장 많은 활용이고, 그 용례는 다양하게 적용된다.

예레미야는 '목자'라는 칭호를 이스라엘 왕 혹은 지도자와 하나님만이 아니라 이방 민족에게도 사용한다. 목자의 '선함'과 '악함'은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 모두에게 적용된다. 심판이란 주제도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 모두에게 적용된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예언에 있어서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예레미야는 목자-양 비유를 통해 이스라엘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그리지만, 바벨론을 향해서는 철저한 심판을 선포한다. 대표적으로 23:1-8은 전자에 속하고, 50장은 후자에 속한다. 흥미롭게도 목자-양 비유의 빈도는 후자가 더 높다.

,

9 아름다운 소식을 시온에 전하는 자여 너는 높은 산에 오르라 아름다운 소식을 예루살렘에 전하는 자여 너는 힘써 소리를 높이라 두려워하지 말고 소리를 높여 유다의 성읍들에게 이르기를 너희의 하나님을 보라 하라
10 보라 주 여호와께서 장차 강한 자로 임하실 것이요 친히 그의 팔로 다스리실 것이라 보라 상급이 그에게 있고 보응이 그의 앞에 있으며
11 그는 목자 같이 양 떼를 먹이시며 어린 양을 그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 젖먹이는 암컷들을 온순히 인도하시리로다 

Verses 1–8 are a microcosm of chapters 41—48, with their use of the image of the highway and new exodus; whereas vv. 9–11 correspond to chapters 49:14ff., with the themes of the return of Yahweh as ruler in Zion, the voice of the messengers, and the victory of Yahweh’s arm.
- Childs, Isaiah, 302.

"아름다운 소식"이란 문구로 시작하는 40:9-11은 이사야의 이스라엘 회복 선포의 절정으로 여겨진다. 여기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보호를 양 떼를 돌보는 목자로 비유한다. 또한 목자의 보호는 49:14 이후에서 야웨의 귀환으로 선포된다.

이 같은 구조는 스가랴 9-14에도 나타난다. 9-13장이 악한 목자를 향한 심판과 선한 목자의 등장을 그린다면, 14장은 야웨께서 천하의 왕으로 등극한다고 선언한다.

이스라엘의 회복을 목자와 왕 심상으로 묘사하는 방식은 오랜 세월 동안 향유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을 본격적으로 다루려면, 선행 작업으로 왕권 사상을 다뤄야 한다. 내 관찰에 의하면, 선한 목자 담론에서 초막절, 목자-양 비유, 아들됨(sonship)이 모두 왕권 사상과 관련이 있다. 즉, 선한 목자 담론은 예수의 왕권을 주장한다. 다만 요한은 예수의 자발적인 죽음(=내어놓음, lay down)으로 예수의 왕되심을 선호한다는 역설이 있다.

초막절은 일 년의 수확을 여호와께 감사하는 절기이다. 풍성한 수확을 가능케 하신 비의 주관자 여호와를 찬양하는 시기가 바로 초막절이다. 이스라엘 선지자들이 우상숭배, 특히 바알과 아세라 숭배를 고발했던 이유는 이스라엘 족속의 우상숭배가 바로 여호와의 주권에 대한 불신이기 때문이다.

목자-양 비유는 전통적으로 왕권 사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대 근동과 그리스-로마 문화에서 목자는 신의 대리인으로 왕을 상징한다. 목자-양 비유에서 피할 수 없는 주제가 다윗 계열의 구원자 사상(Davidic kingship/Messianism)이다. 예언서에 나타난 미래에 나타날 이스라엘의 왕을 다윗과 같은 왕 혹은 다윗의 후손으로 해석하지만, 요한복음에 이 사상을 신봉하는 무리가 등장하지만, 다윗처럼 이스라엘 왕국을 세우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왕이 등장하지만, 그의 출신 배경이 다윗과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아니면 여호와를 궁극적인 왕으로 선포하는 선지자들이 적지 않다. 요한복음에서는 다윗 계열의 구원자 사상을 넘어서는 구원자 예수의 등장을 선포한다.

요한은 이 두 주제를 자신만의 신학으로 재정립하는데, 아들됨은 더 독창적인 방식으로 사용한다. 요한의 아들됨은 예수의 신적 정체성과 그의 자발적인 죽음에 대한 권한을 동시에 드러내는 수단이다. 요한복음 1장에서 로고스로 시작하는 이유가 바로 예수의 신적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야웨 신앙에 관해서는 고대 유대 유일신론(ancient Jewish monotheism)을 염두에 둬야 하고, 예수의 신성에 관해서는 삼위일체론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앞 세 주제를 다루는 작업이 쉽지 않아서, 뒤 두 주제는 차후 연구 주제로 넘겨야 하지 않을까 싶다.

,

고대 근동부터 고대 이스라엘에서 목자-양 유비의 용례가 대체로 왕권 사상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 실제로 이 같은 용어가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더라도, 학술적 용어로 목자-왕 전승이라 칭해도 문제 될 게 없다.

목자-양 유비의 어휘군 중 '생수'(근접한 어휘로는 '물'과 관련된 단어들이 있고, 범위를 넓히면 '비'와 같은 어휘도 포함)에 관해서는 독특한 용례가 발견되어 유의가 필요하다. 목자는 그 자체로 왕(혹은 지도자)을 상징한다. 생수는 목자 혹은 양과 관련되어 사용되는데, 이와 달리 직접적으로 왕과 연결되는 용례가 있다. 우리는 이 용례를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내가 웨신 신학 석사 졸업 논문에서 스가랴서 14장에 나타난 '생수'(8절)와 '왕'(9절)을 목자-왕 전승으로 해석했다. 스가랴 9-13장에서 목자가 주요 어휘였다면, 14장에서는 왕의 등극을 선포한다 ("여호와께서 천하의 왕이 되시리니 그 날에는 여호와께서 홀로 한 분이실 것이요 그의 이름이 홀로 하나이실 것이라").

목자는 왕권을 상징하는 어휘이므로, 목자와 왕 사이에 언어적 치환이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따라서 내 주장은 문제 소지가 없다. (그러니 논문 심사를 통과했겠지)

내가 최근 고민하는 지점은 목자-왕 전승과 별개로 '생수'를 왕권과 연결 짓는 용례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앞서 살펴본 예레미야와 이사야가 그러하다. 큰 그림에서는 목자-생수-왕을 서로 연결하여 해석되지만, 지엽적으로 왕권, 더 정확히는 야웨 신앙과 밀착한 사례를 설명해야 한다. 결론적으로는 왕권(kingship)과 신앙(divine kingship)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작업이다.

한 발 더 나가면 초막절도 연결되는 사안이라 이 고민을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 목자, 생수, 초막절은 왕권이라는 거대 담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금까지 내가 파악한 바에 의하면, 목자와 생수를 왕권과 연결 짓거나, 생수와 초막절을 왕권과 연결 짓는다. 그러나 독특하게도 요한은 초막절(7-10장)을 배경으로 생수(7장)와 목자(10장)를 연결해서 예수의 왕권을 주장한다. 이런 요한의 신학을 자세히 풀어내려면, 지금은 목자, 생수, 왕권을 한 편의 글에 잘 녹여내야 한다.

,

이사야 (44:28; 45:1)와 예레미야(25:9; 43:10)와 달리 에스겔은 느부갓네살 왕에게 ‘내 목자’나 ‘내 종’이란 칭호를 적용하지 않는다. 그저 ‘바벨론 왕’ 혹은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라고 부른다 (21:21; 26:7; 29:18, 19; 30:10, 24, 25; 32:11).

에스겔은 앞서 거짓된 점괘와 허탄한 묵시에 관한 비판하였다(13:6-10). 따라서 바벨론 왕이 희생제물의 간으로 우상에게 점괘를 얻는 행위 (21:21-25)는 그에게 용납될 수 없다. 에스겔은 느부갓네살 왕에게 어떤 찬사도 돌리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할례에 대한 관심(32:18–32)과 일맥상통한다고 여겨진다.

,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왕과 이방 왕에게 동일하게 '목자'라는 칭호를 사용한다. 이방 왕을 '목자'로 지칭하는 사례는 모두 이스라엘 심판과 관련이 있다(6:3; 12:10).

6:3 목자들이 그 양 떼를 몰고 와서 주위에 자기 장막을 치고 각기 그 처소에서 먹이리로다

12:10 많은 목자가 내 포도원을 헐며 내 몫을 짓밟아서 내가 기뻐하는 땅을 황무지로 만들었도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내 종'이라고 부르신다(25:9; 43:10).

25:9 보라 내가 북쪽 모든 종족과 내 종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다가 이 땅과 그 주민과 사방 모든 나라를 쳐서 진멸하여 그들을 놀램과 비웃음 거리가 되게 하며 땅으로 영원한 폐허가 되게 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43:10 그리고 너는 그들에게 말하기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내가 내 종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을 불러오리니 그가 그의 왕좌를 내가 감추게 한 이 돌들 위에 놓고 또 그 화려한 큰 장막을 그 위에 치리라


이러한 예시들은 전형적으로 이스라엘 왕에게 사용되었던 '목자'와 '종'이란 칭호가 이방 왕에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방 왕들이 하나님의 심판 도구로 쓰임 받을 수 있다는 신념이 그 당시에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예레미야의 목자-양 비유를 살펴보면, 이 비유가 다양한 용례를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중 하나는 자신의 직분과 위기를 표현할 때 목자-양 비유를 사용하는 사례이다.

이 중 첫 번째로, 예레미야는 자신의 직분을 목자에게 비유한다(17:16).

16 나는 목자의 직분에서 물러가지 아니하고 주를 따랐사오며 재앙의 날도 내가 원하지 아니하였음을 주께서 아시는 바라 내 입술에서 나온 것이 주의 목전에 있나이다


전통적으로 목자는 하나님, 그리고 이스라엘 왕과 지도자들에게 사용되었다. 예레미야는 예언자로서 자신이 목자의 직분을 감당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어 두 번째로, 예레미야는 죽음의 위기에 처한 자신의 처지를 양에 빗대어 표현한다(11:19; 12:3).

11:19 나는 끌려서 도살 당하러 가는 순한 어린 양과 같으므로 그들이 나를 해하려고 꾀하기를 우리가 그 나무와 열매를 함께 박멸하자 그를 살아 있는 자의 땅에서 끊어서 그의 이름이 다시 기억되지 못하게 하자 함을 내가 알지 못하였나이다

12:3 여호와여 주께서 나를 아시고 나를 보시며 내 마음이 주를 향하여 어떠함을 감찰하시오니 양을 잡으려고 끌어냄과 같이 그들을 끌어내시되 죽일 날을 위하여 그들을 구별하옵소서


이러한 두 용례는 목자-양 비유를 전형적인 목자-왕 전승에 한정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